탬벌레인 대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탬벌레인 대왕》은 16세기 영국의 극작가 크리스토퍼 말로의 대표작으로, 몽골 제국의 티무르를 소재로 한 2부작 연극이다. 양치기였던 탬벌레인이 제왕의 자리에 오르는 과정을 다루며, 르네상스 인본주의, 신에 대한 도전, 그리고 반 이슬람적 주제를 담고 있다. 1587년 초연 이후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7세기 이후에는 과장된 언어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20세기 이후에도 꾸준히 공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를 배경으로 한 희곡 - 리처드 2세 (희곡)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역사극 《리처드 2세》는 1398년부터 1400년까지 잉글랜드 리처드 2세의 통치 말기를 배경으로 그의 폐위와 죽음을 그리며, 리처드의 실정, 볼링브로크의 반란, 왕의 두 몸과 왕권신수설 등의 주제를 탐구한다. - 아시아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태양의 후예
《태양의 후예》는 2016년 KBS 2TV에서 방영된 16부작 드라마로, 육군 특수부대원과 흉부외과 의사들의 사랑과 휴머니즘을 다루며, 송중기, 송혜교 등이 출연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동시 방영되어 큰 인기를 얻었고, 한류 열풍을 이끌었다. - 아시아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언차티드 3: 황금 사막의 아틀란티스
언차티드 3는 너티 독이 개발하고 소니가 배급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보물 사냥꾼 네이선 드레이크가 파트너와 함께 전설 속 도시를 찾아 떠나는 모험을 그리며 싱글 및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지원, 비평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탬벌레인 대왕 | |
---|---|
탬벌레인 대왕 정보 | |
![]() | |
창작 시기 | 1587년 ~ 1588년 |
장르 | 비극 |
형태 | 2부작 희곡 |
언어 | 영어 |
작가 | 크리스토퍼 말로 |
등장인물 | 탬벌레인 제노크라테 테르사메스 메네프라스 오르티기우스 코러스 미케테스 코스료 메안드레스 아지아스 가제루스 유세베스 테쿠리자 페르세스 칼라스 우사눔카사네 바자제트 자비나 이레나 아길라스 군사 총독 군주 알메다 총독 다마스쿠스의 총독 알제르스의 총독 트리폴리의 총독 이집트의 술탄 그의 메신저 아테네의 왕 테베의 왕 코린트의 왕 탬벌레인의 아들들 킬리아스 기타 노새꾼 약탈자 감옥 간수 그라나이트 올림퍼스 파테쿠스 수고문트 발테르나 윌디아스 보니파스 탬벌레인의 아내 필리아 유아부 하우저트 데이푸네어 톰브레이크 그의 아들 의사 그의 페이지 자살한 남자 수감자 복자라스의 왕 오스마네 승마 페이지 늙은 남자 영웅 가버너 |
배경 | |
시간적 배경 | 14세기 |
공간적 배경 | 페르시아, 시리아, 이집트 |
관련 정보 | |
원작 인물 | 티무르 |
2. 배경
영국 극작가 크리스토퍼 말로는 20대에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 셰익스피어와 동시대에 활약하며 역작을 남겼지만, 단명한 이유로 그만큼의 명성을 얻지 못했다. 말로의 죽음을 두고 정치 살인이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두 부분 모두에 등장'''
《탬벌레인 대왕》은 말로의 대표작이다. 초연 성공으로 곧바로 속편이 제작되었을 정도로 작품의 인기는 대단했다. 편의상 전편을 1부로, 속편을 2부로 칭하지만, 1부 결말은 속편의 등장을 예고하지 않는다. 2부의 탄생은 순전히 1부의 흥행에 힘입은 결과였다.
몽골 제국의 번영을 이끈 탁월한 전략가이자 제왕인 티무르가 소재가 되었다. 비천한 양치기로 살다가 제왕의 지위에 오르게 되는 과정을 극화했다. 극 중 탬벌레인은 뛰어난 협상가였다가 전투에 임함에 망설임과 두려움이 없는 장수였다가 사랑하는 여인 앞에서는 순정을 보여 주는 연인으로 그려진다. 한편 제왕적 야망을 이루기 위해 한때의 동지마저 냉정하게 저버리는 악한의 모습도 가졌다. 비범하면서도 영웅적인 탬벌레인은 그러나 고대 비극의 전형에 따라 몰락하지 않고 대제국의 황제에 등극한다.
블록버스터급 스케일과 고도의 형식미를 갖춘 말로의 수작이다.
3. 등장인물
'''제1부에만 등장'''
'''제2부에만 등장'''3. 1. 1부와 2부 공통 등장인물
'''탬벌레인'''은 스키타이족 목동 출신으로 제2부에서는 페르시아의 왕이 된다.[1]
'''테첼레스'''는 제1부에서는 탬벌레인의 추종자였으나 제2부에서는 페즈의 왕이 된다.[1]
'''우숨카산'''은 제1부에서는 탬벌레인의 추종자였으나 제2부에서는 모로코의 왕이 된다.[1]
'''테리다마스'''는 제1부에서는 페르시아 영주였다가 탬벌레인의 추종자가 되고, 제2부에서는 알제의 왕이 된다.[1]
'''제노크라테'''는 이집트 술탄의 딸로, 제2부에서는 탬벌레인의 아내가 된다.[1]
3. 2. 1부 등장인물
3. 3. 2부 등장인물
4. 줄거리
페르세폴리스에서 시작되는 1부에서, 페르시아 황제 미케테스는 스키타이의 양치기 탬벌레인을 제거하려 군대를 보낸다. 그러나 탬벌레인은 미케테스의 병사들과 동생 코스로를 설득하여 미케테스를 물리치고 페르시아 제국을 장악한다. 이 과정에서 탬벌레인은 이집트 왕의 딸 제노크라테를 사로잡아 유혹한다.
권력을 잡은 탬벌레인은 투르크의 황제 바예지드를 공격하여 그와 그의 아내 자비나를 사로잡는다. 탬벌레인은 바예지드를 우리에 가두고 부스러기를 먹이는 등 잔혹한 면모를 보인다. 바예지드는 결국 우리에 머리를 부딪혀 자살하고, 자비나도 뒤따라 자살한다.
아프리카를 정복한 탬벌레인은 다마스쿠스를 공격하고, 장인이 될 이집트 술탄을 속국 왕으로 만든다. 1부는 탬벌레인과 제노크라테의 결혼으로 끝난다.
탬벌레인은 아들들을 정복자로 훈련시키지만, 맏아들 칼리파스는 아버지에게 반항하다 죽임을 당한다. 탬벌레인은 바빌론을 정복하고 코란을 불태우는 등 신성모독 행위를 저지른다.
2부에서 탬벌레인은 이웃 왕국들을 계속 공격하며 자신의 뒤를 이을 아들들을 훈련시킨다. 그의 맏아들 칼리파스는 어머니 곁에 머물며 죽음을 감수하기를 꺼려 탬벌레인의 분노를 산다. 한편, 바예지드 1세의 아들 칼라파인은 탬벌레인의 감옥에서 탈출하여 복수를 계획하고, 탬벌레인과 전투를 벌이지만 패배한다. 칼리파스가 전투에 불참한 것을 안 탬벌레인은 분노하여 그를 죽인다. 탬벌레인은 패배한 왕들에게 전차를 끌게 하는 등 만행을 저지른다.
바빌론을 정복한 탬벌레인은 도시 총독을 성벽에 매달아 총살하고, 주민들을 호수에 던져 익사시키는 등 잔혹한 행위를 보인다. 또한 코란을 불태우고 자신이 신보다 위대하다고 주장한다. 마지막 막에서 탬벌레인은 병에 걸리지만 죽기 전에 한 명의 적을 더 물리치고, 아들들에게 남은 세상을 정복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4. 1. 1부 줄거리
페르세폴리스에서 시작되는 1부에서, 페르시아 황제 미케테스는 스키타이의 양치기 탬벌레인을 제거하려 군대를 보낸다. 그러나 탬벌레인은 미케테스의 병사들과 동생 코스로를 설득하여 미케테스를 물리치고 페르시아 제국을 장악한다. 이 과정에서 탬벌레인은 이집트 왕의 딸 제노크라테를 사로잡아 유혹한다.권력을 잡은 탬벌레인은 투르크의 황제 바예지드를 공격하여 그와 그의 아내 자비나를 사로잡는다. 탬벌레인은 바예지드를 우리에 가두고 부스러기를 먹이는 등 잔혹한 면모를 보인다. 바예지드는 결국 우리에 머리를 부딪혀 자살하고, 자비나도 뒤따라 자살한다.
아프리카를 정복한 탬벌레인은 다마스쿠스를 공격하고, 장인이 될 이집트 술탄을 속국 왕으로 만든다. 1부는 탬벌레인과 제노크라테의 결혼으로 끝난다.
4. 2. 2부 줄거리
탬벌레인은 아들들을 정복자로 훈련시키지만, 맏아들 칼리파스는 아버지에게 반항하다 죽임을 당한다. 탬벌레인은 바빌론을 정복하고 코란을 불태우는 등 신성모독 행위를 저지른다.2부에서 탬벌레인은 이웃 왕국들을 계속 공격하며 자신의 뒤를 이을 아들들을 훈련시킨다. 그의 맏아들 칼리파스는 어머니 곁에 머물며 죽음을 감수하기를 꺼려 탬벌레인의 분노를 산다. 한편, 바예지드 1세의 아들 칼라파인은 탬벌레인의 감옥에서 탈출하여 복수를 계획하고, 탬벌레인과 전투를 벌이지만 패배한다. 칼리파스가 전투에 불참한 것을 안 탬벌레인은 분노하여 그를 죽인다. 탬벌레인은 패배한 왕들에게 전차를 끌게 하는 등 만행을 저지른다.
바빌론을 정복한 탬벌레인은 도시 총독을 성벽에 매달아 총살하고, 주민들을 호수에 던져 익사시키는 등 잔혹한 행위를 보인다. 또한 코란을 불태우고 자신이 신보다 위대하다고 주장한다. 마지막 막에서 탬벌레인은 병에 걸리지만 죽기 전에 한 명의 적을 더 물리치고, 아들들에게 남은 세상을 정복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5. 주제
이 연극은 종종 인간의 잠재력을 이상화하는 르네상스 인본주의와 연결된다. 탬벌레인의 엄청난 권력에 대한 열망은 그가 스스로를 "신의 채찍"(원래 훈족의 아틸라에게 적용된 칭호)의 역할로 삼으면서 심오한 종교적 질문을 제기한다.[9] 일부 독자들은 이 입장을 말로가 무신론 혐의를 받았다는 사실과 연관시키기도 한다. 다른 사람들은 주인공이 코란을 불태우는 장면에서 강조되는 이 연극의 반 이슬람적 흐름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
제프 데일리는 그의 논문 "『탬벌레인 대왕, 2부』에 나타난 기독교적 강조"에서 말로의 작품이 전통적인 중세 도덕극의 직계 후손이라고 언급하며,[9] 그가 무신론자였든 아니든 간에 그는 내용의 종교적 요소와 제시의 우화적 방법을 물려받았다고 지적한다.
5. 1. 르네상스 인본주의
이 연극은 인간의 잠재력을 이상화하는 르네상스 인본주의와 연결된다.[9] 탬벌레인의 엄청난 권력에 대한 열망은 그가 스스로를 "신의 채찍"(원래 훈족의 아틸라에게 적용된 칭호)으로 칭하면서 종교적인 질문을 제기한다.[9] 일부 독자들은 이 입장을 말로가 무신론 혐의를 받았다는 사실과 연관시키기도 한다.[9] 다른 사람들은 주인공이 코란을 불태우는 장면에서 강조되는 이 연극의 반 이슬람적 흐름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9]제프 데일리는 그의 논문 "『탬벌레인 대왕, 2부』에 나타난 기독교적 강조"에서 말로의 작품이 전통적인 중세 도덕극의 직계 후손이라고 언급하며, 그가 무신론자였든 아니든 간에 그는 내용의 종교적 요소와 제시의 우화적 방법을 물려받았다고 지적한다.[9]
5. 2. 신에 대한 도전
이 연극은 종종 인간의 잠재력을 이상화하는 르네상스 인본주의와 연결된다. 탬벌레인은 스스로를 "신의 채찍"(원래 훈족의 아틸라에게 적용된 칭호)의 역할로 삼으면서 엄청난 권력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고, 심오한 종교적 질문을 제기한다.[9] 일부 독자들은 이러한 탬벌레인의 입장을 말로가 무신론 혐의를 받았다는 사실과 연관시키기도 한다. 다른 사람들은 주인공이 코란을 불태우는 장면에서 강조되는 이 연극의 반 이슬람적 흐름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9] 제프 데일리는 그의 논문 "『탬벌레인 대왕, 2부』에 나타난 기독교적 강조"에서 말로의 작품이 전통적인 중세 도덕극의 직계 후손이라고 언급하며, 그가 무신론자였든 아니든 간에 그는 내용의 종교적 요소와 제시의 우화적 방법을 물려받았다고 지적한다.[9]5. 3. 이슬람 혐오 논란
탬벌레인 대왕은 이슬람교를 부정적으로 묘사하여 반 이슬람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21] 특히 주인공이 코란을 불태우는 장면은 이러한 논란을 더욱 심화시켰다.[9]일부에서는 이러한 묘사가 르네상스 인본주의와 연관되어 있으며, 탬벌레인이 스스로를 "신의 채찍"으로 칭하며 권력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종교적인 질문을 제기한다고 해석한다. 이는 작가 말로가 무신론 혐의를 받았다는 사실과 연결되기도 한다.[9]
2005년 11월, 바비칸 예술 센터에서 공연된 ''탬벌레인''에서는 코란을 불태우는 장면이 수정되었다. 연출가 데이비드 파(David Farr)는 이 수정이 탬벌레인의 행동이 이슬람에 대한 공격이 아니라 전체 신학적 시스템에 대한 모욕임을 명확히 하기 위한 예술적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21] 그는 무슬림 커뮤니티나 극장 측으로부터 어떠한 압력도 받지 않았다고 강조했다.[21]
6. 문학적 평가
1590년대 드라마에 대한 《탬벌레인 대왕》의 영향력은 과장될 수 없다. 이 연극은 웅변적인 이미지, 과장된 표현, 압도적인 열정에 사로잡힌 강한 등장인물과 같은 엘리자베스 시대의 전형적인 특징을 예시했으며, 어떤 경우에는 창조하기도 했다. 이 연극에 대한 최초의 기록된 평가는 부정적이다. 1587년에 쓰여진 한 편지에서는 공연 중 우발적인 총기 발사로 어린이가 사망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으며, 다음 해 로버트 그린은 말로우에 대한 비난의 과정에서 《대장장이 페리메데스》에 보낸 편지에서 "무신론적 탬벌레인"을 비난했다. 대부분의 관객(및 극작가)들이 열정적으로 반응했다는 것은 1590년대 드라마에서 아시아 폭군과 "야심 찬 정신"이 확산된 것으로 충분히 입증된다.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에 나오는 많은 등장인물에 대한 말로우의 영향력은 앨저넌 스윈번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스티븐 그린블랫은 《탬벌레인 대왕》이 셰익스피어가 처음 본 런던 연극 중 하나였을 것이며, 이는 세 편의 헨리 6세 극과 같은 그의 초기 작품에 직접적인 영감을 준 경험이었을 것으로 여긴다.[7]
17세기 초가 되자 이 과장된 언어는 유행이 지났다. 셰익스피어 자신도 탬벌레인의 대사를 자신의 연극에 몰두한 병사 피스톨의 입을 통해 말하게 한다(《헨리 4세 2부》 II.4.155).[8] 벤 존슨은 《타임버》에서 "무지한 멍청이들에게 그들을 보증하기 위해 무대에서 으스대는 것과 격렬한 고함 소리밖에 없는 지난 시대의 타멜레인과 타메르-참"을 비난했다.
그 이후의 비평가들은 《탬벌레인 대왕》과 같은 연극의 언어와 사건이 부자연스럽고 궁극적으로 설득력이 없다는 존슨이 제시한 입장을 뒤집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극은 무엇보다도 "시대의 모든 불안한 기질을 표현하는" 텍스트로 여겨졌다. 로버트 플레처는 말로우가 "규칙적으로 끝나는 배열을 피하고, 다양한 일시 정지 및 억양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며, 그의 언어에 시적 응축과 암시성을 부여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유연성과 아름다움을 얻었다"고 언급한다. 존슨은 셰익스피어에 대한 그의 시에서 "말로우의 강력한 구절"을 언급하는데, 비평가들은 이것이 셰익스피어가 그것을 능가했다는 존슨의 주장을 받아들였듯이 정당한 표현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셰익스피어가 그의 동시대인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감정을 포착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지는 반면, 말로우는 영어 드라마에서 최초의 백색 시의 천재로서 중요한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6. 1.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에 미친 영향
《탬벌레인 대왕》은 웅변적인 이미지, 과장된 표현, 압도적인 열정에 사로잡힌 강한 등장인물 등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의 전형적인 특징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7] 1587년에 쓰여진 한 편지에서는 공연 중 우발적인 총기 발사로 어린이가 사망한 이야기가 전해지며, 다음 해 로버트 그린은 "무신론적 탬벌레인"을 비난하기도 했다.[7] 하지만, 1590년대 드라마에서 아시아 폭군과 "야심 찬 정신"이 확산된 것은 대부분의 관객과 극작가들이 이 연극에 열광했음을 보여준다.[7]앨저넌 스윈번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에 나오는 많은 등장인물에 대한 말로우의 영향력을 언급했다.[7] 스티븐 그린블랫은 《탬벌레인 대왕》이 셰익스피어가 처음 본 런던 연극 중 하나였을 것이며, 이는 세 편의 헨리 6세 극과 같은 그의 초기 작품에 직접적인 영감을 준 경험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7] 17세기 초 셰익스피어는 《헨리 4세 2부]》에서 탬벌레인의 대사를 패러디하기도 했다.[8]
6. 2. 17세기 이후의 평가
17세기 초, 과장된 언어가 유행에서 멀어지면서 셰익스피어는 《헨리 4세, 2부》에서 탬벌레인의 대사를 극 중 인물 피스톨의 입을 통해 언급했다.[8] 벤 존슨은 《타임버》에서 "무지한 멍청이들에게 그들을 보증하기 위해 무대에서 으스대는 것과 격렬한 고함 소리밖에 없는 지난 시대의 타멜레인과 타메르-참"을 비난했다.[8]이후 비평가들은 《탬벌레인 대왕》과 같은 연극의 언어와 사건이 부자연스럽고 설득력이 없다는 존슨의 의견에 동의했다. 그럼에도 이 연극은 "시대의 모든 불안한 기질을 표현하는" 텍스트로 여겨진다. 로버트 플레처는 말로우가 "규칙적으로 끝나는 배열을 피하고, 다양한 일시 정지 및 억양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며, 그의 언어에 시적 응축과 암시성을 부여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유연성과 아름다움을 얻었다"고 평가한다. 존슨은 셰익스피어를 논하는 글에서 "말로우의 강력한 구절"을 언급했는데, 비평가들은 이를 셰익스피어가 말로우를 능가했다는 존슨의 주장을 수용한 것으로 해석한다. 셰익스피어가 더 폭넓은 감정을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말로우는 영어 드라마에서 백색시를 성공적으로 활용한 선구자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7. 공연 역사
'탬벌레인 대왕'의 첫 번째 부분은 말로가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떠난 직후인 1587년 늦여름에 애드미럴스 멘에 의해 공연되었다.[10] 에드워드 알레인이 탬벌레인 역을 맡았고, 이는 그의 대표적인 역할 중 하나가 되었다.[10] 이 연극은 그 후 10년 동안 수많은 공연을 거쳤다.[10]
17세기 초, 블랙프라이어스 극장과 글로브 극장과 같은 개인 극장의 세련된 관객들에게 탬벌레인의 "엄청나게 놀라운 표현"은 더 단순한 드라마 시대의 유물이었다.[10] 레드 불 극장과 같이 전통적인 관객을 위한 대형 극장에서 '탬벌레인'이 여전히 부활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1595년 이후의 르네상스 공연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10]
명예 혁명 이후인 1688년, 아일랜드에서는 오렌지 공 윌리엄의 생일에 더블린에서 이 연극을 공연하는 전통이 생겨났으나, 1713년에 정부가 연극 공연을 금지하면서 끝났다.
1919년, 예일 드라마 협회는 말로의 연극 두 부분을 편집하고 결합한 '탬벌레인'을 무대에 올렸다. 1951년 9월 올드 빅에서 두 부분을 축약된 형태로 부활시켰으며, 도널드 울핏이 타이틀 롤을 맡았다.[12] 1956년 스트랫퍼드 셰익스피어 축제에서는 타이론 구스리가 도널드 울핏, 윌리엄 샤트너, 로버트 크리스티, 루이 네긴이 출연하는 또 다른 이중 버전을 연출했다.[13] 이 작품은 브로드웨이로 옮겨졌지만, 에릭 벤트리를 비롯한 비평가들의 혹평을 받았다. 앤서니 퀘일은 타이틀 롤에서 도널드 울핏을 대신하여 토니 상 후보에 올랐고, 타이론 구스리도 연출 부문에서 후보에 올랐다.
1976년 로열 내셔널 극장의 제작은 앨버트 피니가 타이틀 롤을 맡았다. 이 작품은 사우스 뱅크에 있는 새로운 올리비에 극장을 열었다. 피터 홀이 연출을 맡았다.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드문 현대 작품 중 가장 성공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993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앤토니 셔가 탬벌레인 역을, 트레이시-앤 오버만이 올림피아 역을 맡아 수상 경력이 있는 이 연극을 공연했다. 제프 데일리는 뉴욕시 아메리카 극장에서 연극의 두 부분을 완전하게 연출했다. 그는 1997년에 파트 I을, 2003년에 파트 II를 모두 웨스트 54번가 314번지 안뜰에 있는 야외 극장에서 공연했다.
에이버리 브룩스는 셰익스피어 극단을 위해 제작된 이 연극에서 주연을 맡았다. 이 연극은 2007년 10월 28일부터 2008년 1월 6일까지 공연되었으며 마이클 칸이 연출했다.[14]
마이클 보이드가 편집하고 연출한 새로운 작품은 파트 I과 II를 결합하여 2014년 11월 16일 뉴욕 브루클린의 폴론스키 셰익스피어 센터에서 탬벌레인 역에 존 더글러스 톰슨, 제노크라테/칼라핀 역에 메릿 잔슨, 그리고 "크고 다목적 앙상블" 출연진으로 개막했다.[15]
탬벌레인 공연은 2015년 8월 25일부터 9월 12일까지 런던 웨스트 엔드의 트리스타 바테스 극장에서 라자루스 극단에 의해 상연되었다.[16]
2014년 11월 1일, 탬벌레인이 새로운 관객을 위한 극장에서 개막하여 존 더글러스 톰슨의 공연으로 2015년 오비 상을 수상했다.[17] 2015년 1월 14일에 폐막했다.[18]
2018년 8월,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잉글랜드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에서 탬벌레인 공연을 시작했다.[19]
이 연극은 지난 세기 동안 주기적으로 부활했지만, 대규모 출연진과 도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배우가 필요하다는 어려움으로 인해 더 광범위한 공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7. 1. 초연과 초기 공연
'탬벌레인 대왕'의 첫 번째 부분은 말로가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떠난 직후인 1587년 늦여름에 애드미럴스 멘에 의해 공연되었다. 에드워드 알레인이 탬벌레인 역을 맡았고, 이는 그의 대표적인 역할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연극은 그 후 10년 동안 수많은 공연을 거쳤다.7. 2. 17세기 이후의 공연
17세기 초, 블랙프라이어스 극장과 글로브 극장과 같은 개인 극장의 세련된 관객들에게 탬벌레인의 "엄청나게 놀라운 표현"은 더 단순한 드라마 시대의 유물이었다.[10] 레드 불 극장과 같이 전통적인 관객을 위한 대형 극장에서 '탬벌레인'이 여전히 부활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1595년 이후의 르네상스 공연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10]명예 혁명 이후인 1688년, 아일랜드에서는 오렌지 공 윌리엄의 생일에 더블린에서 이 연극을 공연하는 전통이 생겨났으나, 1713년에 정부가 연극 공연을 금지하면서 끝났다.
1919년, 예일 드라마 협회는 말로의 연극 두 부분을 편집하고 결합한 '탬벌레인'을 무대에 올렸다. 1951년 9월 올드 빅에서 두 부분을 축약된 형태로 부활시켰으며, 도널드 울핏이 타이틀 롤을 맡았다.[12] 1956년 스트랫퍼드 셰익스피어 축제에서는 타이론 구스리가 도널드 울핏, 윌리엄 샤트너, 로버트 크리스티, 루이 네긴이 출연하는 또 다른 이중 버전을 연출했다.[13] 이 작품은 브로드웨이로 옮겨졌지만, 에릭 벤트리를 비롯한 비평가들의 혹평을 받았다. 앤서니 퀘일은 타이틀 롤에서 도널드 울핏을 대신하여 토니 상 후보에 올랐고, 타이론 구스리도 연출 부문에서 후보에 올랐다.
1976년 로열 내셔널 극장의 제작은 앨버트 피니가 타이틀 롤을 맡았다. 이 작품은 사우스 뱅크에 있는 새로운 올리비에 극장을 열었다. 피터 홀이 연출을 맡았다.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드문 현대 작품 중 가장 성공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993년,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앤토니 셔가 탬벌레인 역을, 트레이시-앤 오버만이 올림피아 역을 맡아 수상 경력이 있는 이 연극을 공연했다. 제프 데일리는 뉴욕시 아메리카 극장에서 연극의 두 부분을 완전하게 연출했다. 그는 1997년에 파트 I을, 2003년에 파트 II를 모두 웨스트 54번가 314번지 안뜰에 있는 야외 극장에서 공연했다.
에이버리 브룩스는 셰익스피어 극단을 위해 제작된 이 연극에서 주연을 맡았다. 이 연극은 2007년 10월 28일부터 2008년 1월 6일까지 공연되었으며 마이클 칸이 연출했다.[14]
마이클 보이드가 편집하고 연출한 새로운 작품은 파트 I과 II를 결합하여 2014년 11월 16일 뉴욕 브루클린의 폴론스키 셰익스피어 센터에서 탬벌레인 역에 존 더글러스 톰슨, 제노크라테/칼라핀 역에 메릿 잔슨, 그리고 "크고 다목적 앙상블" 출연진으로 개막했다.[15]
탬벌레인 공연은 2015년 8월 25일부터 9월 12일까지 런던 웨스트 엔드의 트리스타 바테스 극장에서 라자루스 극단에 의해 상연되었다.[16]
2014년 11월 1일, 탬벌레인이 새로운 관객을 위한 극장에서 개막하여 존 더글러스 톰슨의 공연으로 2015년 오비 상을 수상했다.[17] 2015년 1월 14일에 폐막했다.[18]
2018년 8월,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잉글랜드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에서 탬벌레인 공연을 시작했다.[19]
이 연극은 지난 세기 동안 주기적으로 부활했지만, 대규모 출연진과 도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배우가 필요하다는 어려움으로 인해 더 광범위한 공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7. 3. 이슬람 혐오 논란과 관련된 공연
2005년 11월, 바비칸 예술 센터에서 공연된 ''탬벌레인''은 탬벌레인이 코란을 불태우고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를 비난하는 장면을 수정했다.[21] 원작과 달리, 탬벌레인은 모든 종교 텍스트를 대표하는 책들을 훼손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21] 연출가 데이비드 파(David Farr)는 이러한 수정이 "그의 행동이 야만적인 투르크족에 대한 기독교의 승리주의가 아니라 전체 신학적 시스템에 대한 거대한 모욕이었음을 명확히 하기 위해"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21] 일부 단체들은 이 장면의 변경이 '정치적 올바름'을 보여주는 것이며 무슬림의 감성을 건드리는 것이라고 비판했지만, 연출가는 이를 부인하며 순전히 예술적인 결정이었다고 강조했다.[21]8. 각색
BBC 라디오에서는 두 차례 각 1부와 2부를 합쳐 방송하는 방식으로 각색되었다. 첫 번째는 1993년 9월 26일 BBC 라디오 3에서 방송되었으며, 마이클 폭스가 연출하고, 마이클 페닝턴이 탬벌레인 역, 사만다 본드가 제노크라테 역, 클라이브 로위가 테리다마스 역, 루이스 힐리어가 테첼크스 역, 피터 기네스가 우슴카사네 역, 루돌프 워커가 바야제트/오르카네스 역, 티모시 워커가 미세테스/칼리파스 역을 맡았다.[22] 두 번째 각색은 2012년 9월 16일 다시 BBC 라디오 3에서 방송되었으며, 피터 카바나가 연출하고, 콘 오닐이 탬벌레인 역, 수지 리델이 제노크라테 역, 올리버 포드 데이비스가 미세테스 역, 케네스 크랜햄이 코스로에 역, 숀 프렌더개스트가 테첼레스 역, 이완 베일리가 테리다마스 역, 에드워드 드 소자가 술탄 역을 맡았다.[23]
크리스토퍼 말로우의 ''탬벌레인 대왕'' 제1부와 제2부를 각색하여 스타 트렉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비공식 팬 제작물인 ''클링온 탬벌레인''이 2019년 할리우드 프린지 페스티벌에서 공연되었다.[24]
8. 1. 라디오 드라마
BBC 라디오에서는 두 차례 각 1부와 2부를 합쳐 방송하는 방식으로 각색되었다. 첫 번째는 1993년 9월 26일 BBC 라디오 3에서 방송되었으며, 마이클 폭스가 연출하고, 마이클 페닝턴이 탬벌레인 역, 사만다 본드가 제노크라테 역, 클라이브 로위가 테리다마스 역, 루이스 힐리어가 테첼크스 역, 피터 기네스가 우슴카사네 역, 루돌프 워커가 바야제트/오르카네스 역, 티모시 워커가 미세테스/칼리파스 역을 맡았다.[22] 두 번째 각색은 2012년 9월 16일 다시 BBC 라디오 3에서 방송되었으며, 피터 카바나가 연출하고, 콘 오닐이 탬벌레인 역, 수지 리델이 제노크라테 역, 올리버 포드 데이비스가 미세테스 역, 케네스 크랜햄이 코스로에 역, 숀 프렌더개스트가 테첼레스 역, 이완 베일리가 테리다마스 역, 에드워드 드 소자가 술탄 역을 맡았다.[23]8. 2. 팬 제작물
크리스토퍼 말로우의 ''탬벌레인 대왕'' 제1부와 제2부를 각색하여 스타 트렉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비공식 팬 제작물인 ''클링온 탬벌레인''이 2019년 할리우드 프린지 페스티벌에서 공연되었다.[24] BBC 라디오에서는 두 차례 각색하여 방송했는데, 1993년 9월 26일 BBC 라디오 3에서 첫 번째 방송이,[22] 2012년 9월 16일에는 피터 카바나가 연출한 두 번째 각색본이 BBC 라디오 3에서 방송되었다.[23]참조
[1]
문서
Restored from "Mag." in text
[2]
논문
The Principal Source for Marlowe’s Tamburlaine
https://doi.org/10.2[...]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43
[3]
서적
The foreste or Collection of histories no lesse profitable, then pleasant and necessarie, dooen out of Frenche into Englishe, by Thomas Fortescue.
http://name.umdl.umi[...]
Ihon Kyngston, for Willyam Iones
1571
[4]
서적
The Image of the East in the Plays of Marlowe and Shakespeare
1969
[5]
문서
Chambers, Vol. 3, p. 421.
[6]
서적
Tamburlaine
Ernst Benn Limited
1971
[7]
서적
Will in the World: How Shakespeare Became Shakespeare
W. W. Norton & Company
2004
[8]
웹인용
"Tamburlaine in London"
http://themarlowestu[...]
Taplinger Publishing Company
[9]
논문
Christian Underscoring in ''Tamburlaine the Great, Part II''
http://www.athe.org/[...]
2005
[10]
인용
Christopher Marlowe: A biographical and critical study
Clarendon Press
1953
[11]
인용
Christopher Marlowe
[12]
서적
Christopher Marlowe
[13]
웹사이트
Louis Negin
http://www.canadiant[...]
[14]
웹사이트
Brooks, Page, Etc. Set for New Shakespeare Theatre Season
http://www.broadwayw[...]
[15]
뉴스
It's Best Not to Make Him Angry: Marlowe's 'Tamburlaine, Parts I and II,' in Brooklyn
https://www.nytimes.[...]
2015-01-23
[16]
웹사이트
Lazarus Theatre Company
http://www.lazarusth[...]
[17]
웹사이트
2015 Winners
http://www.obieaward[...]
[18]
웹사이트
Overview
http://www.tfana.org[...]
[19]
뉴스
Tamburlaine, RSC: a very modern reading of Marlowe's violent play, review
https://www.telegrap[...]
2018-09-16
[20]
서적
Marlowe and the Early Shakespeare (Clark Lecture)
Clarendon Press
1953
[21]
뉴스
Tamburlaine wasn't censored
https://www.theguard[...]
2005-11-25
[22]
뉴스
Tamburlaine the Great
https://genome.ch.bb[...]
BBC
2019-03-03
[23]
웹사이트
BBC Radio 3 – Drama on 3, Tamburlaine
https://www.bbc.co.u[...]
BBC
[24]
웹사이트
Hollywood Fringe – klingon tamburlaine
https://www.hollywo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